본문 바로가기

세종대왕17

한글날은 왜 '10월 9일'이 되었을까 올해 10월 9일은 제567돌을 맞는 한글날입니다. 23년만에 공휴일로 재지정 되면서 더욱 뜨거운 관심을 모은 이번 한글날입니다.그러나 한글날을 단지 '쉬는 날'이라고 인식한다면 안되겠죠. 한글날은 어떤 날일까요? 또, 한글날은 왜 10월 9일이 되었을까요? 한글날이 시작된 것은 1926년이미 아시다시피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반포한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훈민정음이 반포되었던 것은 세종 28년이었던 서기 1446년이었는데요. 한글날은 훈민정음이 반포된 후 훨씬 나중에 제정되게 됩니다. 1926년 조선어 연구회(현 한글학회)가 훈민정음 반포 480돌을 맞아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 한글날의 시작이었습니다. 1928년이 되서야 '한글날'이라는 오늘날의 이름.. 2013. 10. 9.
한글을 보면 소통이 보인다! 최근 몇 년간 사람들의 입에 가장 자주 오르내린 단어가 무엇일까요. SBS 의 인기를 필두로 멘토, 강연 붐이 일면서 ‘힐링’이라는 단어가 한창 주목을 받았는데요. 힐링에 앞서 우리 사회를 대표하던 단어는 ‘소통’이 아닐까 싶습니다. 정치, 사회는 물론이고 IT분야에서도 ‘소통’은 가장 핵심적인 가치로 평가받았습니다. 저는 이 ‘소통’을 가장 잘 담아내고 있는 것이 바로 한글이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한글은 탄생과정부터 소통을 위해 태어난 문자였습니다. 글자 없이 살아가던 일반 백성들을 안타깝게 여긴 세종대왕이 집현전 학자들과 머리를 맞대고 만들어낸 문자가 바로 한글이었습니다. 애초에 소통을 위해서 만들어진 문자라는 것이죠. ‘모태솔로’ (태어날 때부터 지금까지 솔로라는 .. 2013. 4. 23.
최만리의 훈민정음 반대 상소문이 고마운 이유 1446년 음력 9월에 반포된 훈민정음은 그 당시 모든 이들의 환대를 받지는 못했습니다. 훈민정음을 글을 알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백성들을 딱하게 여긴 세종대왕의 지휘아래 만들어진 우리글인데요.  글(한자)을 읽는 것만으로도 또 하나의 권위나 권력이라 생각했던 그 당시 일부 상류지배층들은 한글을 이용하는 것을 꺼려했다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부분입니다. 심지어 세종대왕에게 훈민정음 제작을 반대하는 상소문을 올린 이도 있었는데요. 그 주인공은 바로 ‘최만리’였습니다.  최만리의 훈민정음 반대 상소문이 고마운 이유훈민정음이 비밀프로젝트였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우리는 우리말을 갖고 있었지만 ‘글’을 갖고 있지 않던 터에 중국말을 빌려 쓸 수밖에 없었는데요. 세종대왕은 왕실 최측근.. 2012. 9. 18.
당신은 한글창제과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책「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리뷰 당신은 한글창제과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책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리뷰 영국의 역사학자 존맨(John Man)은 "훈민정음은 모든 알파벳이 꿈꿀 수 있는 최고의 알파벳."이라고 했다고 합니다. 이렇듯 한글은 우리뿐만 아니라 세계인이 인정하는 과학적이고 우수한 문자입니다. 하지만 훈민정음이 어떠한 동기를 가지고 탄생했으며, 어떠한 역사의 흐름 속에서 탄생하게 되었는지를 완벽하게 알고 있는 이는 드문 것 같습니다.저 또한 세종대왕이 ‘백성을 어여삐 여겨’ 훈민정음을 창제하신 줄로만 알고 있었지, 구체적인 역사의 흐름을 파악하고 있진 못했던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최만리가 ‘왜’ 반대 상소를 올려야 했는지 하는 이야기 말입니다.제가 오늘 소개해드릴 책 「28자로 이룬 문.. 2012. 7. 28.
<뿌리깊은나무>에서 만난 세종대왕, 그리고 한글 SBS 수목드라마 뿌리깊은나무 첫방송부터 큰 화제를 낳으며 지난주엔 시청률 20%를 돌파한 SBS 수목드라마 . 송중기, 신세경 등 신세대 스타의 출연과 한석규의 드라마복귀 등으로도 큰 화제를 불러모았던 드라마. 세종대왕을 주인공으로 한 이 드라마 속에서는, 한 인간으로서의 세종대왕과 우리의 '한글'을 만나볼 수가 있었다. 제작진이 말하는 기획의도 가. 한글을 창제한 왕! 세종의 이야기다. 나. 창제된 한글을 처음으로 접하게되는 백성의 대표! 채윤의 이야기다. 다. 이 드라마는 또한 사랑이야기다. 라. 조선은 성리학의 나라이며 사대부의 나라이며 정도전의 나라다. 마. 조선사극으로는 처음으로 반촌(泮村)을 주요무대로 설정한다. 뛰어났지만 고독했던 왕, 세종 우리는 흔히 어떤 분야에서 최고의 경지에 이르른 .. 2011. 11. 14.
한글이 표현할 수 있는 글자 수는 11172개?! 지난 10월 9일은 한글날이었습니다. 한글이 표현할 수 있는 글자수는 몇가지 일까요? [사진=seoulbysubway.wordpress.com] 한글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글자 수는 몇 가지? 한글은 초성(19자), 중성(21자), 종성(28자)를 이용해서 표현하게 되는데요. 한글이 표현할 수 있는 글자의 수는 무려 총 11,172자라고 합니다. 한글은 초성(자음)+중성(모음)의 조합과, 조성(자음)+중성(모음)+종성(받침/자음)의 조합이 있습니다. 초성 자음 19개, 중성 모음 21개, 종성 받침 자음 27개!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받침: 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2011. 10. 14.
왜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만들었을까? '왜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만들었을까?' 한번쯤은 궁금해하지 않으셨나요? 그 궁금증을 풀어줄 재미있는 책이 있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색다른 구성의 역사서를 통해 훈민정음이 왜 탄생했는지에 대해 알아보세요! @리브로 왜 세종 대왕은 훈민정음을 만들었을까? 최만리 VS 세종 대왕 /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이한우 글 | 이남고 그림 | (주)자음과모음 펴냄 시리즈는 역사 속에 라이벌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역사 이야기를 두고 원고와 피고, 증인 등이 되어 재판을 벌이는 이야기가 중심이 되어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균형잡힌 시각과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 스스로 생각해볼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학교 교과서에서 담고있는 해석과 함께 교과서와는 다른 해석과 생각들에 대해서도 수록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를 비판적으로 수.. 2011. 6. 10.
<조선언문실록> 한글이 들려주는 조선이야기 2011년 한반도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자는 '한글' 입니다. 6백여년의 시간을 우리와 함께 동고동락해온 한글을 통해 지나간 조선의 역사를 돌아본다? 상당히 흥미롭지 않은가요. 이 바로 그런 내용을 담은 책입니다. 이 책은 조선시대 왕을 비롯하여 사대부와 왕실 여성,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이 사용한 한글들을 통해 예전의 한글의 모습은 어떠했는지 엿볼 수 있습니다. 왜 '언문'일까 한글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훈민정음, 언문, 한글 등으로 다양하게 불렸습니다. 이 책의 제목이 조선'언문'실록이 된 이유는 세종대왕이 새 문자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부터 에는 언문이라는 이름이 쓰였고, 에 담긴 용어를 그대로 살린다는 의미로 제목에 훈민정음, 한글 대신 '언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2011. 4. 28.
만원 지폐에는 위조방지장치로 한글이 쓰인다? 텔레비전 퀴즈프로그램을 보시면, 늘 출제되는 단골 문제들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대한민국의 지폐, 동전에 새겨진 위인들의 이름을 맞추는 문제가 아닐까 싶은데요. 워낙 많은 프로그램에서 내용을 다루다 보니 이제 모르는 분이 없으실 듯 합니다. 만원지폐에는 훈민정음을 창제하신 세종대왕님의 얼굴이 새겨져있다는 것은 전국민이 알고 있는 기본상식일텐데요. 그렇다면 우리가 사용하는 만원지폐의 위조방지장치로 '한글'이 쓰인다는 것도 알고 계시나요? 만원권 지폐에는 위조방지를 위해 다양한 장치들이 마련이 되어있는데요. 빛으로 비추어보면 숨겨져있는 세종대왕 초상이 보인다는 것은 이미 많이 알려진 위조방지장치이고, 그 외에도 볼록인쇄, 홀로그램, 숨은은선, 색변환잉크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 '미세문자'를 통해 위조방.. 2011. 1. 19.
한글사랑으로 나라사랑 실천하는 반크(VANK) 21세기 세종대왕 프로젝트 '반크'라는 단체에 대해서 생각을 하면 뭐가 먼저 떠오르시나요? 독도나 동해(east sea), 중국의 동북공정 문제 등 우리나라의 역사나 지도상의 표기가 잘못되어있는 것을 정정하는 일들을 하는 것이 주로 생각나실 텐데요. 반크에서 '한글사랑'으로 '나라사랑'을 실천하는 활동이 있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프로젝트명#. 21세기 세종대왕 프로젝트 http://sejong.prkorea.com/kor/main.jsp 지난해부터 시작된 이 활동은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가 세계인들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한글을 알려나가는 21세기 세종대왕 프로젝트입니다. 한글을 바로 알릴 수 있는 인재를 '21세기 세종대왕'을 양성하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웹사이트, 교과서, 백과사전 등에 한글에 대해 잘못.. 2010. 12. 17.
564돌을 맞은 한글날의 역사 오는 10월 9일은 한글날이 564돌을 맞는 날입입니다. 한글날은 세종대왕의 한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에 대한 관심 촉구를 위해 만들어진 한글의 기념일 입니다. 어느덧 564돌을 맞은 한글날의 역사를 살펴볼까요? 한글날은 1926년에 시작되었다 1926년 11월 4일(음력 9월 29일), 조선어연구회와 신민사의 공동주최로 세종대왕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을 맞이하는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1회 한글날 행사가 이뤄진 이 때는 '한글날'이 아닌 '가갸날'이라고 불렀다고 하는군요. 1932년, 한글날을 양력 날짜로 환산 이후 조선어연구회의 기관지인 《한글》이 창간되고부터 가갸날을 '한글날'이라 고치고 기념을 했다고 합니다. 그러던 중 1932년부터 양력 날짜(율리우스역서)로 환산을 해서 10월 29일에 기념 .. 2010. 10. 9.
사라진 한글, 그들의 정체는? 오는 10월 9일은 한글날이 564돌을 맞는 날입니다. 한글이 이 땅 위에서 사용된지도 꽤 오랜 시간이 지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요즘같은 글로벌 세상에는 한글이 오직 '한반도'에서만 사용되지는 않죠. 해외에있는 동포들,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들, 혹은 한글을 차용하는 찌아찌아족 까지…) 그렇다면 한글은 처음부터 우리가 알고 있는 모습을 갖추고 있었을까요? 『동국정운(東國正韻), 1448년』에 쓰인 한글의 모습 처음 『훈민정음』에 보인 한글의 모습은 대부분 오늘날의 것과 일치하지만 얼마간은 달랐다고 합니다. 특히 오늘날의 ‘ㅏ, ㅗ, ㅓ, ㅜ’ 및 ‘ㅑ, ㅛ, ㅕ, ㅠ’가 ‘ㅣㆍ, ㆍㅡ’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것은 ‘ㅏ, ㅗ, ㅑ, ㅛ’ 등을 제자할 때 ‘ㅣ’와 ‘ㆍ’를, 또는 ‘ㅡ.. 2010. 9. 28.